안녕하세요.
직장인 남자입니다.
최근 가입한 종신보험때문에 고민이 많아 상담 의뢰합니다.
KDB 종신보험으로 인해 계속 신경 쓰여 일이 안잡히네요
어떻게 해야할지 고민됩니다.
1. KDB 생명 보험 2건 가입 중
1-1 가입보험
1) (무)파워라이프저축보험2공(적립형)
계약일자 2012 년
납입기간 12년
보험료 100,000 원
현 지속 납입중
2) (무)든든한 인생플랜 유니버셜 종신보험 1종 일반형(기본형)
계약일자 2019년 10월
납입기간 10년
보험료 102,500 원
6개월마다 저축보험에서 60만원씩 추가납입 이체.
상기 2건 내용입니다.
기존 저축보험은 회사단체로 비과세 저축 목적으로 가입하여 납입 중 만기가 4년 밖에 남지 않습니다.
이후 2019년 9월 설계담당자 변경되었다고 새로운 분 연락받아 신규 보험에 대해 소개하며 기존 비과세 저축보험에 대한 변동 금리로
이자해택을 받지 못한다고 새로운 보험인 종신보험 고정금리 2.78% 로 받을수 있다는 말로 가입을 하게되었습니다.
고정금리란 말에 현혹되어 가입하였지만 뭔가 이상하다는 느낌입니다.
현재 저축보험으로 월 10만원씩 자동이체되고 있으며 종신보험은 월 납입을 하지 않습니다.
대신 처음 102,000원 종신보험 납입과 60만원을 종신보험 계좌로 이체 후 6개월마다 저축보험에서 일괄 60만원씩 종신보험으로 이체하는 방식으로
현재 2회 이체하였습니다.
이렇게 6개월마다 옮기게 되면 저축보험 납입 만기시 저축원금과 이자는 없어지면 저축보험이 필요한가 싶습니다.
종신보험으로 2030년까지 납입하더라도 원금은 100% 찾을수도 없다는 글을 보고 종신보험을 계속 유지해야되는지도 의문스럽습니다.
명확하게 어떻게 해야될지 몰라 문의드립니다.
글 솜씨가 없다보니 부족한점 양해드립니다.
--------------------------------------------------------------------------------------------------------------
*사진첨부는 우측상단 사진버튼을 클릭하셔서 올리시면 됩니다. (최대 10개까지 업로드 가능)
*이미지파일 외에 pdf, hwp, xlsx 등 파일은 하단 파일첨부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1개만 업로드 가능)
저축보험상품은 만기가 얼마남지 않아.. 정리는 어려우실 듯 하고..
최근 가입한 종신보험때문에 고민이 크신듯해요.
가입목적을 고려한 유지여부를 고민해보시는게 좋겠습니다.
저금리시대로.. 시중금리 상품으로는 이자수익을 기대하기 어려워
최저보증이율이 높고 복리, 비과세상품인 종신보험으로
장기목적자금을 활용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지만.. 상품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목적자금 활용시기, 납입여력, 장기유지여력등을 고려하여 선택해보시는게 좋습니다.
종신보험은 보장성보험으로 저축형상품이 아니기에..
사업비비중을 낮추기 위한 추가납입은 필수적인 조건으로..
두개의 저축을 유지하며 추가납입까지는 부담스러운 수준이기에
기존 저축보험을 활용하여 추가납입을 제안받으신듯해요..
장기목적자금활용에 대한 충분한 이해로 종신보험을 선택하셨다면..
차피 어떻게든 납입을 해야할 금액이니 저축보험으로 만든 자금으로
추가납입을 활용하시는것도 나쁘지는 않겠으나..
중요한것은 종신보험의 선택목적이 무엇이냐.. 였을 듯 합니다.
장기간의 유지 역시도 필수적인 요소이기에..
10년이상 추가납입을 포함한 유지여력을 고민하여 결정해보시길 바랍니다!
저축보험이 공시이율 상품이라고 저축보험의 적립금을 종신보험으로
이체하는 형식으로 종신보험 보험료 납입을 권유받으신거 같은데요,
저축보험의 10년이후 최저보증이율이 2.0%이니
더 높은 고정이율(2.78%)인 종신보험으로의 변경을 방법을 택하시게 되었네요.
종신보험의 추후에도 추가납입을 꾸준히 하실 수 있는 상황이시라면
저축성목적으로 지금처럼 이전 형태로 유지하시면 되겠습니다.
두가지를 동시에 유지하실 필요는 없겠고요.
어렵다면 현재와 같은 이전 방법에 대해서는 다시 한번 고려를 해보시는게 좋습니다.
오늘의 질문게시판
바